가장 빠른 코인 뉴스!!! 코인도서관 카카오 채널 ! 가장 빠른 코인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루나 토큰에 관하여
루나는 이전 글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테이블 코인의 가격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역할 중 하나입니다. 그 이외에는 아래와 같은 용도가 있습니다.
- 수수료(가스비)의 지불 수단
- 스테이킹
- 거버넌스
스테이킹
테라의 블록체인은 합의 형성의 구조로 프루프·오브·스테이크(PoS)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PoS는 일반적으로 보유(=스테이크)하는 암호화폐의 비율에 따라 블록을 새롭게 승인 생성할 권리를 얻을 수 있는 구조입니다. 이 권리를 얻기 위해 테라의 블록체인에서는 루나를 스테이크 할 필요가 있습니다. 스테이킹하는 루나 수량에 따라 블록의 밸리 이터(승인자)의 랭크가 결정 되며 그 중의 상위 130개의 밸리 데이터만이 합의 형성에 참가할 수 있습니다.
합의 프로세스에서는 우선 Proposer(제안자)로 선택된 벨리데이터가 트랜잭션을 1개의 블록에 정리해 제출.그 블록을 다른 밸리데이터가 검증하는 것이 합의 형성의 흐름입니다. 벨리데이터는 블록에 대한 승인을 실시하는 것으로 트랜잭션 수수료에서 보수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제안자 에게는 보다 많은 보수가 주어지는 구조입니다. 제안자로 선택될 가능성을 높이려면 보다 많은 루나에 대한 지식과 이해가 필요 합니다.
승인을 위임하는 구조
앞서 얘기한 바와 같이 테라의 블록체인에서는 루나의 스테이킹 양에서 상위 130개의 밸리데이터 밖에 합의 형성에 참가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유저가 합의 형성을 위임할 수 있는 구조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 시스템에 의해 루나의 보유량이 적은 유저라도 간접적으로 운영에 참가하는 것이 가능하며 합의 형성을 위임한 유저에게도 보수가 분배되는 구조가 도입되고 있습니다. 또한 벨리데이터의 스테이크 양은 자신이 보유하는 분뿐만 아니라 위임받은 루나 수량도 더한 후 산출됩니다. 합의 형성을 위임(=Delegate)할 수 있는 구조를 ‘DPoS’라 부르는 블록체인도 있습니다만 공식 웹사이트에서는 테라는 PoS를 채용한 블록체인이다 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덧붙여 벨리데이터가 이중 서명을 하거나 오프라인이 되거나 하는 등 부적절한 행동을 했을 경우 스테이크 한 루나가 몰수되는 슬래시라고 하는 패널티가 있습니다. 몰수되는 수량 등 패널티의 내용은 어떤 행동을 했는지에 따라 정해져 있습니다. 이 경우 벨리데이터 자신이 이해관계에 있는 분량 뿐만 아니라 위임받은 루나도 몰수됩니다.
거버넌스
테라는 커뮤니티에 의해 운영되는 분산형 블록체인 입니다. 블록체인의 구조에 대해 변경하고 싶은 것이 있거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는 것이 좋을 때에는 커뮤니티가 제안을 할 수 있습니다. 제안 후에는 커뮤니티에 의해서 투표를 해 제안을 실행할지가 결정 합니다. 이 과정에서 제안이나 투표를 할 때 루나가 필요합니다. 테라의 거버넌스에서는 제안을 활성화하기 위해 50LUNA를 입금해야 합니다. 이 자금은 커뮤니티로부터 모으는 것도 가능하며 이 구조는 스팸을 막는 효과가 있습니다. 2주간 이내에 50 LUNA를 모으는 것으로 투표 이행이 가능 합니다. 투표 시에는 1 LUNA=1표 역할을 합니다.
코스모스와의 연관성
태라의 블록체인은 코스모스 개발 키트 Cosmos SDK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코스모스는 다른 블록 체인을 상호 운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 입니다. 독립된 각 블록체인이 다른 블록체인과 데이터를 교환하거나 암호화폐를 송금할 수 있도록 개발하고 있습니다.
각 블록체인이 집합한 네트워크는 Cosmos network(코스모스 네트워크)라고 하는 명칭입니다. Cosmos SDK를 개발에 사용하면 코스모스 네트워크에 참여하기 위한 블록체인을 보다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테라는 이더리움 등의 블록체인과 같은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이지만 코스모스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탓에 서로 다른 블록체인과 상호 운용하기 쉽다는 점이 큰 우위성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크로스 체인의 상호 운용이 용이하게 되면 다른 블록 체인에 송금도 쉬워져 유저의 편리성이 향상되거래를 하나의 블록체인에 집중시키지 않기 때문에 수수료를 저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코스모스 네트워크에서는 블록의 검증을 부모 체인과 같은 블록체인에 의존할 수도 있지만 테라는 독자적인 벨리데이터가 네트워크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네트워크에서의 합의 알고리즘에는 코스모스 네트워크에서 일반적인 Tendermint의 구조를 도입했습니다.
다음은 루나의 브릿지, 웜홀 등 기타 기능 및 실제 사용처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장 빠른 코인 뉴스!!! 코인도서관 카카오 채널 ! 가장 빠른 코인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