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ross protocol L1⇆L2로 즉시 송금 가능 | 크로스체인 브릿지 어크로스 프로토콜 ‘Across Protocol’에 대한 해설

가장 빠른 코인 뉴스!!! 코인도서관 카카오 채널 ! 가장 빠른 코인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최근 레이어 2 프로젝트에 의한 에어드롭이 성행하고 있으며, 가장 최근에는 홉프로토콜(Hop Protocol), 옵티미즘(Optimism) 등의 프로젝트에서 프로덕트 이용자에 대한 토큰 배포가 이루어졌습니다. 오늘은 공식 Medium에 ‘토큰은 가능한 한 공평한 방법으로 배포됩니다’라고 기재되어 있으며, 일부 토큰의 에어드롭 가능성이 있다고 알려진 프로젝트 ‘Across Protocol’에 대해 소개합니다.
이더리움의 확장성이나 가스비에 관한 과제가 부각된 요즈음, 레이어 2 관련 프로젝트는 향후 더욱 중요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끝까지 읽으셔서 주목 받는 프로젝트인 어크로스 프로토콜에 대해 배워보시기 바랍니다.

Across Protocol = 크로스체인 브릿지 프로토콜

Across Protocol은 UMA Protocol이 다루는 Optimistic Oracle을 채용한 크로스체인 브릿지 프로토콜입니다.
Across를 이용하면 레이어 1의 Ethereum에서 레이어 2의 Optimism·Arbitrum 등으로, 그 반대로 레이어 2에서 레이어 1로 토큰 브릿지를 할 수 있습니다. Across에서는 체인 간 즉시 송금이 가능하도록 Relayer(중계자)라는 구조가 채용되어 있으며 Relayer가 자금을 미리 제공함으로써 체인 간 빠른 토큰 교환(보통 1~3분)이 실현 가능합니다. Across Protocol에서는 현시점에서 아래 블록체인과 토큰을 지원합니다.

Ethereum
ETH、 WETH、WBTC、DAI、USDC、BOBA、BADGER、UMA

Arbitrum
ETH、WETH、WBTC、DAI、USDC、BADGER、UMA

Boba Network
ETH、WETH、WBTC、DAI、USDC、BOBA

Polygon
ETH、WETH、WBTC、DAI、USDC、UMA

Optimism
ETH、WETH、WBTC、DAI、USDC、UMA

Across Protocol의 사용법, 절차

  • 지원되는 체인&토큰을 준비한다
  • Across에 메타마스크를 연결한다
  • 토큰을 체인 간에 브릿지한다

위의 순서로 Across를 설명 해 나가겠습니다.

지원되는 체인&토큰을 준비한다

지원되는 체인&토큰을 먼저 말씀드렸지만 이번에는 그 중에서 이더리움과 알비트럼의 체인을 사용하여 브릿지를 진행하겠습니다.
아직 메타마스크에 Arbitrum 등의 체인을 추가하지 않은 경우에는 RPC의 수동 입력으로 체인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간단한 조작으로 자동으로 체인을 추가할 수 있는 Chainlist를 사용하여 체인을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RPC수동입력의 경우
이 정보를 메타마스크 네트워크에 추가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네트워크명 : Arbitrum
・RPC URL:https://arb1.arbitrum.io/rpc
·체인 ID : 42161
· 통화 기호 : ETH
·블록 익스플로러의 URL : https://arbiscan.io/

Chainlist의 경우
조작은 간단합니다.
connect wallet에서 Meta Mask와 연결을 합니다.
다음에 Add to Metamask라고 표시되므로 클릭합니다.

올바른 RPC 정보가 나오므로 추가를 승인을 클릭합니다. 네트워크를 추가하고 토큰을 준비하면 완료됩니다.

Across에 메타마스크를 연결한다

그 다음 메타마스크를 Across에 연결합니다. 예를 들어 Arbitrum⇒Ethereum으로 USDC를 브릿지하기 때문에 MetaMask 지갑의 네트워크는 Arbitrum으로 설정해 둡니다. 우측 상단의 connect wallet을 클릭합니다.

메타마스크와 Across의 연결 완료를 확인하면 다음에 실제로 브릿지를 합니다.

토큰을 체인 간에 브릿지한다

From: 연결된 네트워크
Asset: 브리지할 토큰, 수량
To: 자금(토큰) 브리지의 네트워크
을 선택하고 “Approve(또는 Send)”를 클릭합니다.

이번 브릿지에서는 Arbitrum⇒Ethereum으로 USDC를 브릿지 하는데 그 때


• 브릿지에 걸리는 시간
•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가스 요금
• 브릿지에 발생하는 가스비


가 표시되므로 어느 정도의 비용과 시간이 필요한지 주의해 봅시다. 상기 이미지의 예에서는, 이하의 내용으로 브릿지가 행해지게 됩니다.
→ Arbitrum 네트워크에서 Ethereum 네트워크로,
→ 769.355826 USDC를 브릿지 하는 시간이 1~3분 소요되며,
→ 2.891 USDC가 네트워크 앞으로 전송하는 가스비, 1.214 USDC가 브리지에 발생하는 가스비로 소비되며,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착금하는 USDC는 765.3USDC.
transaction이 생성되면 “Deposit succeed”라고 표시됩니다.

여기까지, 레이어 2의 Arbitrum에서 레이어 1의 이더리움 상으로의 USDC의 브릿지는 완료됩니다.

Across 정리


지금까지 주목받고 있는 크로스체인 브리지 프로토콜 Across Protocol에 대해 소개했습니다. Across Protocol은 저렴한 가스비와 짧은 시간 안에 자산(토큰) 체인을 바꿀 수 있습니다. Across Protocol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꼭 실제로 사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Ethereum Layer 2인 Arbitrum의 이벤트 ‘Arbitrum Odyssey’의 브릿지 프로젝트로 Across Protocol도 선정되었습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Across공식링크 –

Stay in the Loop

Get the daily email from CryptoNews that makes reading the news actually enjoyable. Join our mailing list to stay in the loop to stay informed, for free.

Latest stories

- Advertisement - spot_img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