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HEX거래소 독차 체인 Bluehelix란?

가장 빠른 코인 뉴스!!! 코인도서관 카카오 채널 ! 가장 빠른 코인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 후오비 체인을 비롯하여 최근 수많은 거래소 계열 체인이 난립하고 있으나 각각의 체인 상에서 다루어지는 자산들은 기본적으로 어떻한 브릿지를 통해 체인을 넘어 유통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그 역할을 담당하는 것은 중앙집권형 거래소이며 분산형이 아니므로 해킹의 리스크가 존재하고 있습니다. 블루헬릭스는 BHEX 거래소의 체인이면서도 타 거래소계 체인과 전혀 다른 컨셉으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Bluehelix 개요

블루헬릭스는 BHEX 거래소에 의해 개발된 자체 블록체인 플랫폼입니다. BHEX 거래소 자체는 2018년 11월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 단 한 번도 유지보수로 정지되지 않은 매우 완강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블루헬릭스는 최근 거래소계 체인에 많이 있는 이더리움을 대체하고자 하는 체인과 달리 블록체인 수준의 보안으로 자산의 커스터디를 시행하는 것을 컨셉으로 합니다. 따라서 Bluehelix에서는 처음부터 크로스 체인을 전제로 한 설계가 이루어졌으며, 수많은 체인에 접속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기본적인 체인 움직임의 이미지는 일반적인 크로스 체인 브릿지와 동일합니다. 블루헬릭스 상에 생성된 지갑에 자산을 입금하면 1:1로 페깅된 토큰이 블루헬릭스 상으로 발행되도록 되어 있습니다. Bluehelix에서의 입출금 사용 편의성은 여러 체인에 대응한 해외의 중앙집권형 거래소와 비슷합니다. 입금 시 원하는 체인을 지정할 수 있으며 입금 시와 다른 체인에서 출금할 수도 있습니다. 때문에, Bluehelix 를 사용한 프로덕트에서는 체인의 존재를 신경쓰지 않는 암호 자산의 이용이 가능하게 됩니다.

Bluehelix 특징

Bluehelix는 분산형 구조로만으로 모든 체인의 자산을 체인 간에 오가게 할 수 있습니다. 그 구조는 체인을 구성하는 3종류의 노드에서 구현됩니다:

  • 통상 노드(Ordinary Nodes): 트랜잭션의 송신, RPC 서비스 블록의 동기에 참가하는 노드.
  • 합의 노드(Consensus Nodes): 전체의 의견 일치에 참가해, 블록의 생성을 실시하는 노드.초기 단계에서 35노드 정도.
  • 커스터디 노드(Cross-Chain Custody Nodes): 비밀키 조각들을 보관하고 입출금 처리를 하는 노드.컨센서스 노드의 역할도 겸한다.

컨센서스 노드와 커스터디 노드는 Bluehelix의 네이티브 토큰 HBC를 스테이킹하도록 요구됩니다. 또한 HBC 토큰 보유자는 컨센서스 노드와 커스터디 노드에 대해 위임 함으로써 스테이킹 보수를 얻을 수 있습니다.

Bluehelix의 크로스 체인을 통한 입출금에서는 분산형 암호 기술을 바탕으로 커스터디 노드를 통해 사용자별로 하나의 지갑 주소가 생성됩니다. 개개의 커스터디 노드는 사용자 지갑의 단편화된 개인 키를 보유하며 출금 시 여러 커스터디 노드를 통한 멀티 파티 계산(MPC)을 수행함으로써 개인 키 전체를 누구에게도 파악할 수 없도록 합니다.

지갑에 토큰을 입금하면 사용자의 자산은 1대 1로 잠기게 됩니다. 예를 들어 이더리움에서 ERC20 USDT를 1USDT를 입금한 경우 이더 측에서 1 USDT가 잠기고 블루헬릭스측에서 USDT에 페그된 토큰이 1 USDT만큼 발행됩니다. 출금 시에는 입금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입니다. BHEXChain 측 토큰은 소각 되고 출금지 체인에 잠겨있는 토큰이 풀리게 됩니다.

Bluehelix의 장점

Bluehelix는 많은 체인과 크로스 체인을 지원합니다. 현재 지원되는 체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비트코인
  • 이더리움
  • 바이낸스 체인
  • 후오비 체인
  • 트론
  • 도지
  • 폴리곤


또한 다음 체인에 대한 대응이 준비되고 있습니다.

  • 니어
  • 솔라나
  • x다이
  • 팬텀
  • 코스모스
  • 파일코인


입출금 체인을 의식할 필요가 없다

DeFi 서비스에서는 통상 어떠한 형태로든 서비스가 대상으로 하고 있는 체인상의 자산을 확보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바이낸스 체인 상의 서비스를 사용하는 경우 미리 BEP20 규격의 토큰을 확보해 두어야 합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중앙집권형 거래소나 브릿지를 통해 이루어져야 하며, 번거로움과 불필요한 수수료 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반면 Bluehelix에서는 Bluehelix 상에 지갑만 만들어 버리면 입출금을 위한 체인을 신경 쓰지 않아도 됩니다. 예를들어, 원래 ERC20 USDT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 지갑에 연결된 이더리움 주소로 직접 입금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TRC20 USDT로 출금하고 싶은 경우, TRON상의 주소에 대해서 직접 출금을 실시할 수 있습니다.


비밀키가 제삼자에게 누설되지 않는다

최근의 중앙집권형 거래소에 의한 암호자산의 유출은 모두 비밀키가 부정하게 취득됨에 따라 발생합니다. Bluehelix 에서는, 복수의 커스터디 노드에서 비밀 키의 단편을 보유합니다. 출금으로 비밀키가 필요하게 되는 상황에서는 복수의 커스터디 노드에 의해 이루어지는 멀티 파티 계산(MPC)으로 서명합니다. MPC에 의해 각 노드가 보관하고 있는 비밀키 단편을 밝힐 필요가 없기 때문에 아무도 비밀키 전체를 파악할 수 없습니다. 이 시스템에 의해 비밀키 전체의 부정한 취득을 방지하고, 단일 장애점의 리스크를 방지하는 것으로 이어집니다.

HBC 토큰


Bluehelix에서는 네이티브 토큰으로 HBC를 이용합니다. HBC는 원래 BHEX 거래소의 거래소 토큰으로 시작하여 현재는 거래소 토큰과 Bluehelix의 네이티브 토큰 두 가지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Bluehelix 에서의 HBC 토큰은 아래의 용도로 사용 되어 집니다.

  • Bluehelix에서의 가치 이전 (HBC의 송수신)
  • Bluehelix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가스 수수료
  • 컨센서스 노드 및 커스터디 노드에 대한 위임
  • 컨센서스 노드 또는 커스터디 노드가 되기 위한 담보


컨센서스 노드나 커스터디 노드를 위해서는 기관급 담보자금이 필요하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가 HBC를 스테이킹하는 경우에는 위임하게 됩니다. HBC 스테이킹의 보수 비율은 다음과 같으며, 델리게이트를 했을 경우의 보수가 가장 높은 비율이 됩니다.

  • 글로벌 블록 보상(커스터디노드 전용): 5%
  • 블록 보수(커스터디노드, 컨센서스노드 전용): 9.5%
  • 투표 보수(위임 한 사람을 위한) 85.5%

가장 빠른 코인 뉴스!!! 코인도서관 카카오 채널 ! 가장 빠른 코인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Stay in the Loop

Get the daily email from CryptoNews that makes reading the news actually enjoyable. Join our mailing list to stay in the loop to stay informed, for free.

Latest stories

- Advertisement - spot_img

You might also like...